본문 바로가기

Self Study/Java3

Spring MVC 에서 React 로 전환 🧩 React 도입 시 백엔드는 어떻게 구성하면 좋을까? (Spring MVC vs React 구조 정리)이번 프로젝트에서는 기존에 사용하던 Spring Framework + JSP 조합에서 프론트엔드를 React로 전환하는 작업을 하게 되었다.React는 프론트와 백이 완전히 분리되는 구조라 처음에는 기존의 MVC 패턴과 어떻게 연결될지에 대해 꽤 혼란이 있었다.특히 "React를 쓰면 기존의 Model-View-Controller는 어떻게 되는 거지?"라는 질문이 생겼다.그래서 React를 도입하면서 기존 Spring MVC 구조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간단히 정리해봤다.(이 부분은 나중에 또 다른 프로젝트에서 참고할 일이 있을 것 같아서!)✅ 기존 방식: Spring MVC + JSP기존에는 브라우.. 2025. 7. 28.
[JAVA] ImmutableMap : 변경 불가능한 맵(Map) 프로젝트 중 상사가 리팩토링한 코드 중에서 immutableMap 을 사용한 부분이 있었다. 몇가지 지정된 객체들을 특정 메소드에 파라미터로 보내는 과정에서 해당 맵을 사용했는데 처음 보는 맵의 종류라 정리하게 되었다. ImmutableMap 이란?Map 의 종류이지만 이 맵은 한 번 만들어지면 그 안의 키와 값이 변경될 수 없는 특징이 있다.즉, 이미 지정해둔 키와 값의 쌍을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없으며, 새로운 키-값 쌍을 추가할 수도 없다. ⭐예제 /**첫번째 방법*/ImmutableMap map = ImmutableMap.of("bean", _bean, "regDt", _bean.getRegDt()); /**두번째 방법*/ ImmutableMap map2 = Immuta.. 2024. 7. 8.
[JAVA] instanceof 연산자 : 인스턴스의 타입을 확인 프로젝트에서 코드를 리팩토링 하는 과정에서 같은 연산을 하지만은 상속받는 bean 이 다른 두개의 메소드가 있었다. 물론 다른 패키지 내부의 dao 에서 연산을 하는 것이라 별다른 리팩토링 필요성을 못느꼈는데 같은 연산을 두 패키지 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서도 쓰일 가능성을 보고 Util로 옮기며 intanceof 연산자를 사용하게 되었다. intanceof 연산자란? 사용하는 이유 : 개체가 어떤 클래스인지, 어떤 클래스를 상속받았는지, 즉 인스턴스의 실제 타입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결과 : boolean (true 또는 false) ⭐문법object instanceOf typeobject 가 내가 확인하고 싶은 객체이고 type이 비교 대상이다. object == type 또는 type을 상속받는 다면 .. 2024. 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