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맥만 쓰다가 드뎌!!!!!! 데탑을 하나 장만했다. 

그런데 모든 파일은... 맥에 있고... 이걸 옮기기엔 내 클라우드가 너무 용량이 작고... 

그래서 고민하다 찾은 방법이 서버간 이동

바로 알려주겠다! 


1. 계정 생성

먼저 쉐어하는 계정을 하나 만들어 주는게 좋다.

설정 → 계정 을 누른다.

 

2. 가족 및 다른 사용자 → 이 PC에 다른 사용자 추가

 

4. 계정 만들기 과정

해당 사람이 Micrsoft의 아이디가 있을 경우 로그인 하면 간단하다. 

하지만 난 귀찮기도 해서 없이 만들기로 했다. 

이 사람의 로그인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클릭

자세한 정보를 클릭하면 맨위 회색 버튼을 눌러야지만 체크가 된다. 

두개다 했다면 동의 클릭

마지막으로 Microsoft 계정 없이 사용자 추가 를 클릭 

그라면 pc 사용자 만들기 화면이 나온다. 

여기서 나오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는 반드시 기억해야한다!

 

 

5. 공유 폴더 설정하기 

먼저 원하는 위치에 폴더 하나를 만든다. 

해당 폴더에서 우클릭 한 후 엑섹스 권한 부여   특정 사용자를 클릭

여기서 아까 만든 사용자의 이름을 넣은 후 추가, 그리고 권한 수준을 읽기/쓰기로 변경해준다. 

 

 

 

6. 내 PC 의 주소 확인하기 

검색창(찾기) 에 CMD 라고 치면 명령 프롬프트가 뜬다.

거기에 ipconfig 라고 적고 엔터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내 컴퓨터의 주소가 나오는데, 이 IPv4 주소를 잘 기억하면 된다. 

 

7. 마지막으로 맥에서 윈도우 공유폴더 연결하기 

Finder 메뉴에서 이동→서버에 연결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서버 url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우리는 파일을 공유할 것이기에 smb 라는 프로토콜을 쓸껀데 

예를 들어 smb://192.168.023.456  이런식으로 연결을 누르면

로그인 하는 창이 뜰떄 위에 윈도우에서 설정한 계정 명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그러면 finder 창이 뜨는데 이건 윈도우에 있는 공유 폴더가 되는거다!!! 

 

 

하시다가 도움이 필요하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

728x90
반응형

'Tip > Program'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License 파일 만들기 및 프로젝트 가져오기  (0) 2022.11.30
[Git] VS code Github 연결  (0) 2022.11.30
728x90

✔️해당 프로젝트 가져오는 방법 (업데이트된 내용을 깃헙에서 컴퓨터로) feat. License 추가

 

👉 Add file

👉 Create new file

👉 License 입력 후 Choose a License template 클릭

👉 원하는 license 를 클릭 한 후  Review and submit 클릭

👉 저장하려는 경로나 내용을 적고 Commit new file  클릭

👉 License 파일이 새로 생겼습니다! 

<- 업데이트된 파일 가져오기 ->

👉 git pull 경로 입력

 (저는 origin 의 master 브랜치 이기에 해당 경로를 입력하였습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간단하쥬!😁

728x90
반응형

'Tip > Progra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팁] Windows 에서 맥, 맥에서 Windows 로 파일 옮기기  (0) 2025.04.03
[Git] VS code Github 연결  (0) 2022.11.30
728x90

 

맥북 에어 M1 기반입니다 :)

 

Node.js 를 공부하며 Github에 연결하는 것을 하는 과정에서 오류도 나보고 

구글링하며 해결했던 부분 정리해서 올리려고 합니다🙂

저는 VS code(Visual Studio Code)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 Github upload > 

<!-- 터미널에 입력할 순서-->

 

✔️git init

✔️ nano README.md 👉 현재 프로젝트에 대해 간단히 명시 (ctrl+XYEnter 저장)

✔️ nano .gitignore  👉 업로드 하면 안되는 파일/폴더 명시 (/node_modules는 하지 않는게 좋다.)

** 을 붙히면 같은 폴더안에 없더라도 적용된다.

✔️ git status 👉 untracked files 를 확인

(명시된 파일들은 깃에 올라갈 파일들이다.)

✔️  git add . 👉 .git에 추가 

✔️ git commit -m "코멘트" 👉 commit 하고 그에 대한 코멘트

✔️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Lynnet1205/login-lecture.git   👉 깃 저장소 연결(해당 주소는 깃헙에서 확인 가능)

✔️ git remote -v 👉 경로 설정이 잘 되어있는지 확인 가능

✔️ git push origin master 👉 master 라는 branch 로 push 하는 것 

❌ERROR

error: src refspec master does not match any
error: failed to push some refs to 'https://github.com/Lynnet1205/login-lecture.git'

 

저 같은 경우  master branch가 없어서 생긴 문제였는데요

이럴때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면 됩니다 👍

✔️ checkout -b 'master' 

✔️ git push origin master

완료되면 Github을 새로고침합니다 

아래처럼 commit 시 입력했던 코멘트(깃 저장소 초기화)의 내용으로 파일들이 업로드되었고 

README.md파일에 적은 내용도 같이 올라온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해당 프로젝트를 다운받는 방법(새로운 폴더)

 

👉  <>Code 

👉HTTPS 주소 복사 또는 해당 브라우저의 주소를 복사

👉  (터미널 입력) git clone 복사한_주소 새로운_폴더명

새로 생긴 폴더를 오픈하면 /node_modules 라는 폴더가 없는데요 이럴때는

👉npm i 를 입력하면 package.json/package_lock.json 의 내용을 기반으로 node_modules 라는 폴더가 생성됩니다. 

간단하지만 도움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