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 란?
- 데이터의 정확성, 일관성, 유효성이 유지되는 것을 의미
- 정확성 : 중복이나 누락이 없는 상태
- 일관성 : 원인과 결과의 의미가 연속적으로 보장되어 변하지 않는 상태
<데이터 무결성 제약조건의 종류와 개념>
1. 개체 무결성(Entity Intergrity)
기본키(Primary Key) 제약이라고도 하며, 테이블을 기본키를 지정하고 그에 따른 무결성 원칙을 지켜야 하는 조건
*기본키란?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구별하기 위해 후뵠 중에서 선택된 고유한 식별자 키
-기본키는 NULL 값이 올 수 없다.
-테이블 내에 오직 하나의 기본키만을 가질 수 있다.
2. 참조 무결성(Referential Intergrity)
외래키(Foreign Key) 제약이라고도 하며, 테이블 간의 참조 관계를 선언하는 제약조건
*외래키란?
-한 테이블의 키 중에서 다른 테이블의 기본키를 참조하여, 다른 테이블의 레코드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키
-외래키의 값은 NULL 값이거나 참조하는 테이블의 기본키와 같은 값과 동일해야함
-외래키 속성은 참조할 수 없는 값을 지닐 수 없음
3. 도메인 무결성(Domain Intergrity)
테이블에 존재하는 필드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
필드의 타입, Null값 허용 등에 대한 사항을 정의하고 올바른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하는 조건
*예 ) 속성값으로 Int(Number)값이 있는 필드에 문자열이 들어오는 경우 모데인의 무결성이 깨졌다고 볼 수 있다.
4. Null무결성(Null Intergrity)
테이블의 특정 속성에 대한 각 레코드들이 갖는 값들이 서로 달라야하는 조건
5. 고유 무결성(Unique Intergrity)
테이블의 특정 속성에 대해 각 레코드들이 같는 값들이 서로 달라야하는 조건
6. 키무결성(Key Intergrity)
하나의 테이블에는 적어도 하나의 키가 존재해야한다는 규정
<무결정 제약조건의 장단점>
- 장점 : 스키마를 정의할때 일관성 조건을 한번만 명시하고,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될때 응용프로그램들은 일관성 조건을 검사할 필요가 없다.
- 단점 : 작업이 복잡해지고, 무결정 제약조건을 반복해서 구현해야하고, 무결성 제약조건들끼리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Self Study > SQ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D] 데이터 모델링의 3단계 (0) | 2022.11.02 |
---|---|
[SQLD]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0) | 2022.11.02 |
[SQLD] 트랜잭션(Transaction) (0) | 2022.11.01 |
[SQLD] SQL문 중요 간단 정리! :) (0) | 2022.11.01 |
[SQLD] 연산자와 내장함수(Stored Function) (2) | 2022.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