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MALL

속성(Attribute)이란? 

- 서물의 성질, 본질적인 성질

- 업무에서 필요로하는 정의

- 의미상 더이상 분리되지 않는 정의

- 엔터티를 설명하고 인스턴스를 구성하는 요소 

 

엔터티, 인스턴스와 속성, 속성값에 대한 내용과 표기법 

- 엔터티, 인스턴스, 속성, 속성값의 관계

- 하나의 엔터티는 여러개의 엔터티를 가지고 엔터티는 한개의 속성값만 가질 수 있음

- 하나의 엔터티는 2개 이상의 인스턴스 집합, 2개 이상의 속성

 

* 속성의 표기법

  Barker 표기법 중 * 입력시 입력값이 반드시 있어야 하고(NOT NULL), ㅇ은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된다(NULL).

 

속성의 특징

- 반드시 해당 업무에서 필요하고 관리하고 하는 정보이어야 한다.(예: 강사의 교재 이름)

- 정규화 이론에 근간하여 정해진 주식별자에 함수적 종속성을 가져야 한다.

- 하나의 속성에는 한 개의 값만을 가진다. 다중값(하나의 속성에 여러 개의 값이 있음)일 경우 별도의 엔터티를 이용하여 분리한다.

 

 

속성의 분류 

분류 속성 설명
속성의 특성 기본 속성
(Basic Attribute)
업무로부터 추출한 모든 속성
설계 속성
(Designed Attribute)
업무를 규칙화하기위해 새로 만들거나 변형하여 정의하는 속성(코드성, 일련번호 등)
파생 속성
(Derived Attribute)
다른 속성에 영향을 받아 발생하는 속성(계산된 값 등)
*빠른 성능을 낼 수 있도록 원래 속성의 값을 계산, 적을 수록 좋음
엔터티 구성방식 PK(Primary Key) 속성 엔터티를 식별할 수 있는 속성
FK(Foreign Key) 속성 다른 엔터티와의 관계에서 포함된 속성
일반 속성 엔터티에 포함되어있고 PK, FK에 포함되지 않는 속성
세부 의미 유무 단일값 속성
(Single Value)
반드시 하나의 값만 존재(주민등록번호 등)
다중값 속성
(Multi Value)
여러개의 값을 가질 수 있음(전화번호->휴대폰, 집, 회사 전호번호 등) 
*하나의 엔터티에 포함 X -> 1차 정규화를 하거나, 별도의 엔터티를 만들어 관계를 연결해야함

 

도메인(Domain)

 - 각 속성의 값의 범위가 있는데 이를 그 속성의 도메인이라고 한다.

  --> 엔터티 내에서 속성에 대한 데이터타입과 크기 그리고 제약사항을 지정하는 것

  예: 학생이라는 엔터티가 있을 때 학점이라는 속성의 도메인은 0.0에서 4.5 사이의 실수 값

 

속성의 명명(Naming)

  - 해당 업무에서 사용하는 이름을 부여

  - 서술식 속성명은 사용하지 않음

  - 약어사용은 가급적 제한

  - 전체 데이터모델에서 유일성 확보하는 것이 좋음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