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8

[SQLD] 트랜잭션(Transaction) 트랜잭션(Transaction)이란? -여러작업들을 하나로 묶은 단위 -한 덩어리의 작업들은 모두 실행되거나, 실행되지 않습니다. (all-or-nothing) ACID란? -데이터의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한, 트랜젝션의 특징들의 앞글자를 딴 단어 - Atomicity(원자성) 중간 단계까지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끝까지 완전하게 실행되며 중간에서 실패하는 일이 없도록 합니다. 모든 작업이 반영되거나 모두 롤백되는 특성입니다. - Consistency(일관성) 트랜잭션이 완료되면 언제나 일관된 DB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데이터는 미리 정의된 규칙에서만 수정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숫자 컬럼에 문자열값이 저장되는 것을 방지해줍니다. - Isolation(고립성, 격리성) 다른 트랜잭션의 연.. 2022. 11. 1.
[SQLD] SQL문 중요 간단 정리! :) DDL(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 정의어) - 스키마, 도메인, 테이블, 뷰, 인덱스를 정의하거나 변경 또는 삭제할때 사용하는 언어 - 논리적 데이터 구조와 물리적 데이터 구조의 사상을 정의 - 데이터 베이스 관리자나 데이터 베이스 설계자가 사용함 *DDL 설명 : https://reframeurmind.tistory.com/4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 데이터 조작어) - 데이터베이스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이나 질의어를 통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처리하는데 사용하는 언어 -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 * SELECT 문 실행 순서 FROM - WHERE - GROUP BY - HAVING -S.. 2022. 11. 1.
[SQLD] 연산자와 내장함수(Stored Function) 연산자는 주로 WHERE 절에 사용되며 연산자의 종류에 따라 우선순위가 발생한다. -산술 연산자 (+, -, * , /) : 0으로 나눌 수 없으며 '정수/정수 = 실수' 이다. - 비교 연산자 연산자 = > = A로 시작하는 모든 문자열 LIKE '%A' ->A로 끝나는 모든 문자열 LIKE'%A%' ->A가 포함된 모든 문자열 LIKE '___A%' -> 3번째 글자가 A인 모든 문자열 ->결과 : BLAKE, CLARK, ADAMS LIKE '__O__' -> 총 5글자이며 그 중 3번째 글자가 O인 문자열 ->결과 : SCOTT - 연산자 우선순위 종류 연산자 우선순위 산술 연산자 * , / ,+ , - *부터 우선 -이 제일 마지막 관계 연산자 = , , > ,= , 관계 > 논리 연산자.. 2022. 11. 1.
[SQLD] DCL(데이터 제어어 : Data Control Language) 과 TCL(트랜젝션 제어어 : Transaction Control Language) DCL(데이터 제어어 : Data Control Language) 란? - 데이터베이스에 권한을 부여하는 언어 *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DCL 을 입력하는 순간 명령어에 해당하는 작업이 즉시 (AUTO COMMIT)된다. 종류 설명 GRANT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액세스(접근)권한을 제공 (특정 사용자만 특정작업을 할 수 있도록 지정 가능) REVOKE GRANT명령으로 주어진 접근 권한을 철회 GRANT GRANT 권한 종류 ON 대상 TO 계정명 IDENTIFIED BY 암호 [WITH GRANT OPTION]; -- 모든 권한을 가진 계정 생성 GRANT ALL ON *.* to root2 IDENTIFIED by 1234; --특정 데이터베이스에 조회권한을 가.. 2022. 11. 1.
[SQLD] DML( 데이터 조작어 : Data Manipulation Language) DML( 데이터 조작어 : Data Manipulation Language) 란? - SQL에서 기본적으로 테이블의 입력(INSERT), 수정(UPDATE), 삭제(DELETE), 조회(SELECT) -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관리하는데 사용, 자동으로 커밋(저장, Commit)되지 않는다. - 즉, DML명령에 의한 변경은 데이터 베이스에 영구적이지 않으로 롤백(RollBack)할 수 있다. (* 다만, SQL Server의 경우 DML 도 Auto Commit(자동 저장) 되기에 따로 Commit(저장)을 할 필요가 없다.) DML의 종류 설명 절자척 데이터 조작어 (Procedural DML) 사용자가 무슨 데이터를 원하며 어떻게 그것을 접근하여 처리해야 되는지를 명세해야 되는 저급 데이터 언어 비.. 2022. 11. 1.
[SQLD] DDL( 데이터 정의어 : Data Definition Language) DDL( 데이터 정의어 : Data Definition Language) 이란? - 물리적 DB 객체의 구조를 정의하는데 사용 - 가장 대표적으로 테이블을 생성하는 일 제약조건(Constraint)이란? - 테이블에 입력되는 데이터가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에 만족하는 데이터만 입력 될 수 있도록 하는 것 - 칼럼마다 설정한다. 제약조건 설명 기본키 (Primary Key) - 테이블의 고유한 식별자 - 하나의 테이블에 하나의 기본키만 정의할 수 있다. - 인덱스로 사용 - NULL 사용 불가능 - UNIQUE 와 NOT NULL 제약 조건을 만족해야한다. 고유키 - 고유한 식별자 - 기본키와 달리 NULL 사용 가능 - UNIQUE 제약 조건을 만족해야하지만 NOT NULL 은 해당되지 않는다. NOT N.. 2022. 10. 28.